24. 서울의 고전소설
옛 서울 사람들의 정서와 생활상을 보여주는 고전소설의 역사
저자 엄태웅
발행처 서울역사편찬원
발행일 2024년 06월 30일
페이지 217P
24. 서울의 고전소설
24. 서울의 고전소설 옛 서울 사람들의 정서와 생활상을 보여주는 고전소설의 역사 저자엄태웅 발행처서울역사편찬원 발행일 2024년 06월 30일 페이지217P 열람수2426회
history.seoul.go.kr
차례
제1장 고전소설 속 서울 / 018
1. 애듯한 사랑과 이별의 공간, 서울
《운영전》또는 《수성궁몽유록》 그리고 수성동
《심생전》과 운종가
《상사동기》와 성균관 ,혜화문, 상사동
2. 과감한 사랑의 무대, 서울 / 047
《절화기담》과 1794년 무렵의 종로
《포의교집》과 을지로, 서울 동북 지역
3. 유흥과 향락의 번화한 공간, 서울 / 063
《이춘풍전》 속 서울과 평향의 유흥
《계우사》 속 서울의 다채로운 유흥과 생활상
4. 가슴 아픈 역사의 공간, 서사적 치유의 공간, 서울 / 092
《임장군전》과 가슴 아픈 역사의 공간, 서울
《박씨전》과 치유의 공간, 서울
제2장 서울 속 고전소설
1. 궁궐 사람들도 서설에 심취에 있던 곳, 서울 / 106
낙선재본 고전소설의 존재
낙선재본 고전소설의 세 가지 특성
2. 소설을 빌려보는 문화가 성행했던 곳, 서울 / 122
세책, 세책집, 세책업
세책의 형태적 특징
세책집 고전소설의 내용적 특징
3. 방각본으로 고전서설을 대량 인쇄했던 곳, 서울 / 142
방각본과 경판본
경판본 고전소설 목록
서울의 방각업소
경판본 고전소설의 내용적 특징
4. 근대식 인쇄술로 고전소설이 재탄생한 곳, 서울 / 158
계몽운동에 참여한 신구서림 운영자, 지송옥
서적업의 자본주의적 발전 견인
신구서림의 흥행 도모
근대적 편집 체제의 수용
근대적 인식 체계로의 표상적 편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