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/07 3

서울의 고전소설 - 엄태웅, 서울역사편찬원

24. 서울의 고전소설옛 서울 사람들의 정서와 생활상을 보여주는 고전소설의 역사 저자 엄태웅 발행처 서울역사편찬원 발행일 2024년 06월 30일 페이지 217P 24. 서울의 고전소설24. 서울의 고전소설 옛 서울 사람들의 정서와 생활상을 보여주는 고전소설의 역사 저자엄태웅 발행처서울역사편찬원 발행일 2024년 06월 30일 페이지217P 열람수2426회history.seoul.go.kr 차례 제1장 고전소설 속 서울 / 0181. 애듯한 사랑과 이별의 공간, 서울 《운영전》또는 《수성궁몽유록》 그리고 수성동 《심생전》과 운종가 《상사동기》와 성균관 ,혜화문, 상사동2. 과감한 사랑의 무대, 서울 / 047 《절화기담》과 1794년 무렵의 종로 《포의교집》과 을지로, 서울 동북 지역3. 유흥과 향락..

조선시대 글 2025.07.15

조선시대 남녀에 따라 시차제로 운영된 야간통행금지

내용출처 : 📚유승희 『통제된 시간과 공간』, 세창미디어 통제된 시간과 공간 : 알라딘역사산책 3권. 이제는 사라진 야간통행금지가 조선시대에는 어떤 모습이었을까? 통행금지에 막힌 밤문화를 어떻게 즐겼을까? 치안유지를 목적으로 시행된 야간통행금지는 조선시대에도 있었다www.aladin.co.kr 🗂️책소개 이제는 사라진 야간통행금지가 조선시대에는 어떤 모습이었을까? 통행금지에 막힌 '밤문화'를 어떻게 즐겼을까? 통행금지 범죄자에 대한 처벌은 어떻게 했을까? 치안유지를 목적으로 시행된 '야간통행금지'는 조선시대에도 있었다. 조선시대 통제된 밤 시간과 공간에서는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를 살펴볼 수 있는 책이다.🗂️목차 들어서며: 이제는 사라져 버린 야간통행금지 _061장 조선시대 야간통행금지와 해제통행..

[논문] 18세기 이후 한성부 북부 6방(현 북촌) 주거 정체적 구조

표 북촌지역 추정 방(坊)과 동(洞)의 대응관계 18세기 이후 한성부 북부 6방(坊)(현 북촌)의 주거 정체적(停滯的) 구조 - 서울학연구 -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: 논문 - DBpia 18세기 이후 한성부 북부 6방(坊)(현 북촌)의 주거 정체적(停滯的) 구조 | DBpia정정남 | 서울학연구 | 2015.11www.dbpia.co.kr